❗처음부터 멀티모듈 프로젝트를 세팅해야하는 분들을 위해 공유드립니다.
1. 깃헙에 repo 생성 후 소스트리 클론 (현재 lp-api 테스트로 진행)
2. base 프로젝트 만들기
이때, 그룹 / artifact는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.
릴리즈 된 버전을 선택(SNAPSHOT이 아닌 버전), 스프링 웹만 선택한 후 프로젝트 생성을 한다.
3. finder에서 원격 repo에 위에 만든 베이스 프로젝트를 넣어준다.
lp-api(원격 repo 폴더) ← lp(base project), 이때 lp(base project)안에 src폴더를 제외하고 모두 복사하여 lp-api(원격 repo 폴더)폴더 밑으로 넣어주고 해당 lp(base project) 폴더는 삭제한다.
4. 인텔리제이 > open에서 그레이들 파일을 찍고 lp-api를 열어준다.
프로젝트 오픈 이후, 모듈을 추가한다.
이때 group-id등은 회사에 맞춘 내용을 작성한다.
5. 부모 그레이들 세팅
include("api") 추가 후 그레이들 재빌드 한다.
그러면 아래와 같이 그레이들 lp안에 api가 들어가 있는것을 볼 수 있다. 위에 있는 내용(pay)은 ‘-’로 삭제한다.
6. 부모 빌드 그레이들을 이전 프로젝트들과 동일한 형식으로 맞춰준다.
(이전 프로젝트 : 본인의 회사에 맞게 진행한다.)
7. 자식 빌드 그레이들에서 아래 내용을 추가한다.
tasks.getByName<Jar>("jar") {
enabled = false
}
8. application 수정
9. 그레이들 재빌드 해본 후 서버 켰을 때 문제 없이 켜지면 된다.
'개인공부 > 일일회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멀티 모듈 프로젝트에 maven-publish 적용하기 (0) | 2022.09.09 |
---|---|
gradle의 Maven publish 사용기 (0) | 2022.09.08 |